e-뮤지엄
경작도
| 유물명 | 경작도 |
|---|---|
| 다른 명칭 | 농사와 베짜기, 耕作圖 |
| 시대 | 조선, 19세기 |
| 작가 | 作家未詳 |
| 재질 | 종이 |
| 크기 | 각 폭당 가로 31.2㎝, 세로 120.5㎝ (10폭) |
| 수량 | 1 |
| 분류 | 일반회화 |
설명
농사와 베짜기 / 耕織圖 / Farming and Weaving
작가미상 / Anonymous
조선 19세기 / Joseon, 19th century
경직도는 시경 (詩經)의 '빈풍칠월편(豳風七月編)'을 그린 '빈풍도(豳風圖)'에서 유래하였다.
이후 청나라의 초병정(焦秉貞)이 내용을 재구성하여 '패문재경직도(佩文齋耕織)'를 그린 후 목판화로 널리 보급시켰으며, 조선은 숙종(肅宗)대에 수용되었다.
이 작품은 농촌을 배경으로 10폭으로 구성하였으며, 크게 농사를 짓는 경부(耕部)와 직물을 짜는 직부(織部), 그 외의 장면으로 나눠서 볼 수 있다.
우측부터 누에치기, 파종, 모내기, 추수, 농한기, 농한기, 월동준비, 실뽑기, 벼타작, 직물짜기를 폭마다 그려넣었다.
공공누리 : 출처표시+상업적 이용금지 (제2유형)